728x90 심리학 노트15 ISFP vs ISTP (ft. 이성 vs 감정) 친구와 나의 MBTI 나의 공식적인 MBTI는 ISFP이다. 중간에 결과가 바뀐 적도 많아서 더 정확하게 말하자면 IxxP이지만 공식적으로는 누가 물어보면 ISFP라고 한다. 가운데는 N이나 T가 나올 때도 있다. 그리고 내 아싸 성향 특성상 집순이에 좁고 깊은 인간관계를 추구하기 때문에 내 바운더리에 있는 몇 안되는 지인들 중에서는 ISFP를 한번도 만나본 적이 없었다. 하지만 최근에 친하게 지내고 자주 얘기하는 친구 중 한명이 자기가 ISFP가 나왔다고 했다. 정말 웃긴게 나도 그 친구 MBTI가 ISFP라는걸 믿지 않았고 본인도 잘못 나온것 같다고 했다..ㅋㅋ 이 친구와 나는 같은 MBTI 결과를 공유하는 만큼 비슷한 부분도 있지만 일단 나랑 생각하는 방식이 달라도 너무 달라서 나와 같은 ISFP 유형이라는 것이 도저히.. 2022. 8. 5. 자폐 스펙트럼이란? 자폐 스펙트럼이란? 자폐증의 정의는 3세 이전부터 시작되어 엄마와의 상호작용 거부하거나 눈맞춤을 하지 않으며, 반복 행동을 하는 등 아동기에 진단이 될 수 있습니다. 한국에서 자폐성 장애가 알려지게 된 시점은 1970년대 후반 무렵입니다. 당시에는 지적장애를 동반한 중증 자폐성 장애 개념만이 알려져 있었고(75%의 자폐성 환자가 지적 장애 문제를 보인다고 합니다), 1980년대까지도 자폐증에 대한 인식이 거의 없는 수준이었다고 합니다. 현재는 지적장애 동반유무와 관계 없이, 지능이 높고 낮음과 관계 없이 자폐 증상이 있을 수 있다는 사실이 널리 알려졌습니다. 자폐증 증상과 유사한 아스퍼거, 서번트 증후군 등 여러 가지 증상들을 포괄적으로 자폐 스펙트럼이라 부르게 되었다고 합니다. 자폐 스펙트럼의 가장 큰.. 2022. 7. 28. 나의 MBTI 성격 유형은? ISFP & INFP 나는 심리에 관심이 많고 MBTI 유형별로 알아가는 것도 좋아하는 사람이다. 새로운 사람을 처음 만날 때도 마음 속으로 이 사람 MBTI는 뭘까? 부터 생각한다. 그리곤 조용히 상대방이 무슨 유형일지 혼자 관찰하는 것이 내 삶의 소소한 낙으로 자리잡았다. MBTI를 두고 단순히 혈액형별 성격유형 같은 거라고 허무맹랑하다는 사람들도 많다. 어떻게 수많은 사람들을 그저 16가지 카테고리로만 분류할 수 있냐고 하는데, 개인적으로 MBTI는 과학적이고 신빙성있는 테스트라고 생각한다. (물론 너무 맹신해도 문제다.) 전문 기관에서 정식으로 검사를 받는 것이 가장 정확하겠지만, 인터넷으로도 간단히 자신의 유형을 테스트해 볼 수 있다. 테스트 시간은 한 15분 정도 남짓이니 관심 있는 분들은 인터넷으로 해봐도 좋을 .. 2022. 7. 19. 요새 읽은 정신건강, 치유와 관련된 책들 중학교 때 좋아하던 친구에게 자살에 관해 생각해 본 적 있냐고 진지하게 물어본 적이 있었다. 당시 친구는 한 번도 자살같은 생각을 해 본적이 없다고 했다. 사람들은 다 한번쯤은 혹은 여러번 죽고 싶다는 생각을 하면서 살아가지 않을까 라고 생각했던 나는 그렇지 않은 사람도 있다고 해서 무척이나 놀랐었다. 사춘기가 지나고도 그렇게 불쑥불쑥 우울한 감정이 엄습해올 때마다, 이런 깊은 늪 같은 감정을 나만 느끼고 사는 것인지, 다른 사람들은 다들 어떤 감정을 가지고 사는 것인지 궁금해졌다. 백세희 최근 라는 책에서 '기분부전장애'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 책은 워낙 유명한 책이고, 저자가 기분부전장애로 진단받고 심리상담을 받았던 내용들을 토대로 대화체로 정리해서 썼다. 예전에 나도 우울증 증상으로 심리상담을 .. 2022. 7. 18. 이전 1 2 3 4 다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