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리학 노트

나의 MBTI 성격 유형은? ISFP & INFP

by Lumière:3 2022. 7. 19.
728x90
반응형

 

나는 심리에 관심이 많고 MBTI 유형별로 알아가는 것도 좋아하는 사람이다. 새로운 사람을 처음 만날 때도 마음 속으로 이 사람 MBTI는 뭘까? 부터 생각한다. 그리곤 조용히 상대방이 무슨 유형일지 혼자 관찰하는 것이 내 삶의 소소한 낙으로 자리잡았다.

MBTI를 두고 단순히 혈액형별 성격유형 같은 거라고 허무맹랑하다는 사람들도 많다. 어떻게 수많은 사람들을 그저 16가지 카테고리로만 분류할 수 있냐고 하는데, 개인적으로 MBTI는 과학적이고 신빙성있는 테스트라고 생각한다. (물론 너무 맹신해도 문제다.)

 

 

전문 기관에서 정식으로 검사를 받는 것이 가장 정확하겠지만, 인터넷으로도 간단히 자신의 유형을 테스트해 볼 수 있다.

테스트 시간은 한 15분 정도 남짓이니 관심 있는 분들은 인터넷으로 해봐도 좋을 것 같다.

 

https://www.16personalities.com/ko/%EB%AC%B4%EB%A3%8C-%EC%84%B1%EA%B2%A9-%EC%9C%A0%ED%98%95-%EA%B2%80%EC%82%AC

 

무료 성격유형검사 | 16Personalities

혹 질문이 마음에 들지 않더라도 정직하게 답변하십시오.

www.16personalities.com

 


 

MBTI 유형분류

MBTI는 아래 네 가지 척도로 사람들의 성격을 나눈다.

출처 브레인미디어

 

https://www.brainmedia.co.kr/BrainTraining/22383

 

[궁금한 인터뷰] MBTI란 무엇인가?

MBTI(마이어스-브릭스 유형 지표, Myers-Briggs Type Indicator)는 정신분석학자 카를 융(Carl Jung)의 심리 유형론을 토대로 만든 성격 유형 검사 도구다. 네 가지의 상대적인 선호 지표를 조합해 성격 유형

www.brainmedia.co.kr

 

내향형 Introversion vs 외향형 Extroversion

내향형은 내성적과는 다른 뜻이다. 바깥 세상보다는 자신의 내면에 더 집중한다는 뜻에서 방향이 안으로 향해 있다고 내향형이라고 하는 것 같다. 반대로 외향형은 자신의 내면보다 바깥 세상과 타인들에게 더 집중하는 편이다. 자신이 주로 내면에 집중하는지 혹은 바깥 사람들과 상호작용을 통해 만족감을 얻는지에 따라 다른 것 같다.

 

직관형 iNtuition vs 감각형 Sensing

감각형은 시각, 청각, 촉각 등 오감에 의존해서 정보를 인식한다. 무언가를 배울 때 직접 몸으로 하는 체험과 경험을 통해서 배우는 경우가 많다. 그에 비해 직관형은 육감을 이용해 눈으로 보이는 것 너머 그 이면에 있는 것, 상대방의 의도 등을 파악하는 데 능하다. 그래서인지 감각형은 세세한 정보를 잘 기억하고 나무를 보는 경향이 강한 반면에 직관형은 디테일은 잘 흘려버리지만 큰 그림을 그리고 숲을 보는 경향이 강하다.

인터넷에 찾아보니 감각형은 지금 이 순간 현재를 더 중요시하는 현실주의자, 직관형은 미래지향적인 이상주의자라고 나와있다.

나는 반반인것 같은데 잘 모르겠다. 어쩔 땐 아주 현실적인 것 같으면서도 어쩔 때 보면 한없이 이상적이기도 하다.

 

감정형 Feeling vs 사고형 Thinking

가치 판단을 할 때 감정형은 인간관계와 사람 중심이고, 사고형은 사실과 진실이 우선이다. 그리고 사고형은 논리적이고 분석력이 뛰어나다.

 

인식형 Perceiving vs 판단형 Judging

인터넷에선 인식형, 즉 P형은 즉흥적이고 무계획적이고 판단형인 J형은 꼼꼼하고 계획을 잘 세우는 유형이라고 알려져 있다. 그래서 보통 인식형은 게으르고 판단형은 부지런하다고 구분짓는 사람이 많다.

MBTI 전문 유튜브 채널을 통해 배웠는데, 어떤 정보를 받아들일 때 P형은 들어오는 정보들을 계속 수용하는데 반해 J형은 어느 정도 정보를 받아들였다 싶으면 자기가 받아들인 선에서 정리를 하고 배치해서 그 안에서 자신이 내릴 수 있는 가장 나은 판단을 한다고 한다. 그래서 상대적으로 판단도 빠르고 계획대로 일을 척척 진행시킨다. P형은 들어오는 족족 정보를 받아들이다 보니 우유부단해질 위험이 있고 결정을 잘 못내릴 수도 있다고 한다. 하지만 느긋하고 융통성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 네 가지 중 자신에게 해당되는 것을 합하면 자신의 유형이 나온다.

 


 

내 MBTI 유형 = ISFP & INFP

나는 처음 MBTI 검사를 몇 년 전에 전문심리상담 기관에서 받았었는데 ISFP가 나왔었다. 그 뒤로도 몇 번 해봤는데 그 때마다 ISFP가 나와서 그런 줄 알고 있었는데 오랜만에 다시 해봤더니 이번엔 INFP형이 나왔다. 한국어로 할 때랑 영어로 할 때랑 결과가 다르게 나온다.

MBTI는 한번 정해지면 절대 바뀌지 않거나 하는 게 아니라 살면서 성격이나 환경이 바뀜에 따라 얼마든지 다른 유형으로 바뀔 수 있다고 한다.

출처 Google
출처 Google

 

출처 Google

 

출처 Google

 


 

출처 잡플래닛

 

ISFP랑 INFP는 거의 꼴찌다ㅠㅠ나도 돈 많이 벌고 싶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