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리학 노트

자폐 스펙트럼이란?

by Lumière:3 2022. 7. 28.
728x90
반응형

자폐 스펙트럼이란?

자폐증의 정의는 3세 이전부터 시작되어 엄마와의 상호작용 거부하거나 눈맞춤을 하지 않으며, 반복 행동을 하는 등 아동기에 진단이 될 수 있습니다.  

한국에서 자폐성 장애가 알려지게 된 시점은 1970년대 후반 무렵입니다. 당시에는 지적장애를 동반한 중증 자폐성 장애 개념만이 알려져 있었고(75%의 자폐성 환자가 지적 장애 문제를 보인다고 합니다), 1980년대까지도 자폐증에 대한 인식이 거의 없는 수준이었다고 합니다.

현재는 지적장애 동반유무와 관계 없이, 지능이 높고 낮음과 관계 없이 자폐 증상이 있을 수 있다는 사실이 널리 알려졌습니다. 자폐증 증상과 유사한 아스퍼거, 서번트 증후군 등 여러 가지 증상들을 포괄적으로 자폐 스펙트럼이라 부르게 되었다고 합니다. 자폐 스펙트럼의 가장 큰 특징으로는 타인과의 상호작용이 힘들고, 자신이 몰두하는 특정한 관심사에 지나치게 집착하는 것, 과도하게 예민한 감각 등이 있습니다.

 

 

자폐 스펙트럼 또는 자폐 스펙트럼 장애(Autism Spectrum Disorders, ASD)는 자폐증/자폐 장애를 비롯하여 자폐증의 진단기준은 충족하지 않으나 전체 또는 일부 특징이 비슷한 여러 증후군을 모은 개념이다. 사회생활의 문제와 제한적인 관심사 등을 공통적인 특징으로 하며, 대표적인 예시로 아스퍼거 증후군, 서번트 증후군 등을 포함한다.

DSM-5에서는 아스퍼거 증후군상세불명의 전반적 발달장애아동기 붕괴성 장애 등을 묶어 자폐 스펙트럼으로 분류하였다. 이들은 다른 사회성 장애들과 함께 전반적 발달 장애를 구성한다. 장애인복지법에서는 자폐성 장애를 장애로 인정하므로, 자폐 스펙트럼 장애도 자폐성 장애인으로 장애인등록이 가능하다. - 출처 나무위키

 

 

자폐 스펙트럼의 원인

자폐 스펙트럼 증상의 원인으로는 유전적 요인도 포함되지만 현재까지는 정확하게 알려진 바가 없습니다. 또한 인종과 사회적 계급과 관계없이 나타나며, 여아보다는 남아의 진단률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자폐 스펙트럼의 특징

1. 또래에 대한 관심 부족

타인과 상호작용 하는 것에 관심이 없거나, 있더라도 언어 발달이 지연되거나 혹은 자신만이 이해할 수 있는 방법으로 소통하려 하기 때문에 대화를 이어가는 데 힘들 수 있습니다.

2. 정서적 상호작용 부족

3. 반복 행동

4. 집착

자신이 몰두하는 특정 관심사에 지나치게 몰입하는 특징이 있습니다.

5. 눈맞춤

뇌의 발달이 고르게 이루어지지 않아서 생기는 현상이라고 합니다. 자폐성 장애인들은 전두엽보다 측두엽과 후두엽이 크게 발달하기 때문에 시각적인 분석 능력이 매우 뛰어나게 됩니다. 그로 인해 사람과 눈을 맞출 때 한꺼번에 너무나 많은 정보가 들어오기 때문에 눈을 맞추는 것이 힘들게 됩니다.

6. 인지 발달의 저하

7. 기분과 정서의 불안정성

 

자폐 스펙트럼의 치료

근본적으로 완치할 수 있는 방법은 아직 발견되지 않았습니다. 상담이나 약물, 심리치료를 통해 완치보다는 증상의 완화와 삶의 질 개선에 중점을 둡니다. 어린 나이에 진단되어 치료할수록 언어 발달의 예후가 좋으며, 병원과 가족들이 아이에게 수용적이고 지지해주는 환경일수록 긍정적인 예후를 보인다고 합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