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애착유형테스트
성인애착유형테스트는 자기 자신과 다른 사람과의 관계, 그리고 내 자신이 나와 어떻게 관계를 맺는지에 관해 보여주는 테스트입니다.
총 36문항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성인애착유형테스트 바로가기
애착 유형의 종류
애착 유형은 크게 안정형 애착, 불안정 애착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불안형 애착은 다시 회피형과 공포회피형으로 나뉩니다.
한번 애착 유형이 형성되면 아동기, 청소년기를 지나 성인기의 인간관계, 연애와 결혼 등 평생에 걸쳐 한 사람의 일생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아주 중요합니다.
1. 안정형 애착
안정현 애착(자기 긍정-타인 긍정) 유형은 어린 시절의 어머니 혹은 주 양육자가 아기에게 즉각적이고 적절한 반응을 보여주고, 아이가 주 양육자 간의 상호작용을 많이 경험한 경우에 형성됩니다. 아기는 주 양육자와 친밀함을 충족하고 만족스러운 관계 속에서 세상은 믿을 만한 곳이라는 신뢰를 쌓게 됩니다.
타인과 가까워지는 것을 편안하게 느끼고 인간 관계 속에서 나만 소외 당하거나 버려지지 않을까 하는 스트레스와 염려를 하지 않습니다.
2. 불안정 애착
한편, 불안정 애착 유형은 주 양육자가 감정 기복이 있어 아기에게 적절하지 못한 반응 혹은 일관되지 못한 반응을 보임으로써 아이 역시 감정 기복이 심하고 불안한 마음을 갖게 됩니다.
불안정 애착을 형성한 아이들은 자라서도 타인과의 친밀한 관계가 불편하고, 상대방에게 거절당할까봐 항상 불안합니다. 자신을 사랑하는지 습관적으로 확인하기도 합니다.
불안정 애착 - 회피형
불안정 애착 유형 중 회피형 애착은 자기 긍정 - 타인 부정 유형으로, 주로 주 양육자가 아기에게 냉담하거나 무반응으로 일관한 경우에 발생되며, 아이는 나중에 자라서 감정 표현에 서투르거나 주변 사람에게 무관심한 양상을 보일 수 있습니다.
회피형 애착을 가진 사람들은 어린 시절에 주 양육자에게 따뜻한 관심과 사랑을 받기를 원했지만 그 욕구가 충족되지 못했기 때문에 그것이 상처가 되어 마음에 깊이 남아있는 사람들입니다.
이 상처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사람들과 친밀해지고자 하는 욕구를 억누르고 타인과 가까워지는 것을 피하게 됩니다.
또 다른 특징으로는 타인에게 의지하지 않고, 인간 관계에서 발생하는 책임이나 구속을 회피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불안정 애착 - 불안형
불안형은 자기 부정 - 타인 긍정 유형입니다. 자신이 사랑받을 만한 가치가 없다는 생각이 뿌리 깊이 박혀 있어 상대의 거절이나 부정적인 반응에 극도로 민감하게 반응합니다. 상대에게 지나치게 의존하고 스스로 잘 결정을 내리지 못하는 경향이 있어 가스라이팅에 취약할 가능성도 있습니다. 관계에 대한 확신을 얻기 위해 상대를 무시하는 행동이나 위협하는 행동도 보일 수 있습니다.
불안정한 관계에서 오는 불안감이나 긴장이 해소되는 순간 느껴지는 안도감을 사랑이라고 착각하는 경우가 많아서 안정형 애착인 사람들에게는 별로 큰 매력을 느끼지 못하고, 자신을 불안하게 하고 집착하게 만드는 회피형 애착 사람들과 관계를 맺는 경우가 많습니다.
불안정 애착 - 혼란형(공포회피형)
이 유형은 자기 부정-타인 부정 유형으로, 불안정 애착 중 회피형과 불안형을 모두 가지고 있는 유형입니다. 보통 어린 시절에 부모의 학대를 받은 경우나 깊은 트라우마가 원인이라고 합니다. 타인과 친밀해지고자 하는 욕구가 없는 회피형과 반대로 이들은 친밀감에 대한 욕구는 강하지만 자신에게도 타인에게도 신뢰가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아무도 믿을 수 없습니다.
이로 인해 상대방과 친밀해져서 깊은 관계가 되면 자신의 본모습을 보고 크게 실망할거라고 확신합니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자기 자신을 상처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타인과 가까워지는 것을 꺼려합니다.
'심리학 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는 왜 거절하지 못할까? 자기 표현 강화 훈련법 (2) | 2025.05.02 |
---|---|
의존성 성격의 특징과 자율성을 기르는 꿀팁 (2) | 2025.05.01 |
정신장애의 종류: DSM-5에 따른 정신장애 진단분류 (0) | 2022.09.20 |
[MBTI] ENTJ 유형 특징, 주기능과 부기능 (0) | 2022.08.27 |
내성적 내향적 차이(+라디오스타 장도연) (0) | 2022.08.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