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관심분야

영어 시제의 중요성(+가정법)

by Lumière:3 2022. 7. 18.
728x90
반응형

 

끊임없는 영어 공부

나는 캐나다에 살면서 지금까지 영어 문법을 공부한 적이 없다. 영어는 지금도 끊임없이 공부하고 있지만, 문법은 정말 내 스타일과는 거리가 한참 멀었다. 영어는 사람들이 쓰는 언어일 뿐이고, 언어로써 영어를 사용하려면 실생활에서 자주 사용하고 부딪혀보는 것이 최선이라고 생각했다. 그래서 쉐도잉, 원서읽기, 필사, 단어외우기 등등 수많은 방법으로 영어를 공부해왔지만 문법의 중요성을 그동안 간과해왔던 것 같다. 내 영어실력이 점점 늘어가는데도 내 자신의 영어구사력을 봤을때 썩 유창하지 못한 느낌이 들고 실력도 더디게 늘고 있다고 생각해서 좌절도 많이 했었는데, 그 원인 중 하나가 문법 공부를 소홀히 해서라고 최근에서야 깨달았다. 역시 무엇이든지 기초를 잘 닦아 놓는 게 가장 중요하다. 하지만 후회는 하지 않는다. 만약 내가 맨 처음 영어를 배우기 시작할 때 문법부터 손을 댔다면, 내 성격상 복잡한 문법 구조를 이해하지 못했을 뿐만 아니라 어려운 문법 용어들에 겁을 먹고 영어를 포기했을지도 모른다. 영어를 어느 정도 할 줄 알게 된 지금이 나에게는 문법 공부의 적기라고 생각한다.

 

요새 틈틈이 문법을 공부하면서 느낀 점은 영어를 할 땐 시제를 항상 정확하게 맞춰서 말해야 한다는 것이다. 과거, 현재, 미래 시제가 있다고 교과서에서만 듣고 흘려버렸지만 시제는 영어에서 아주 중요하다. 예를 들어, 아침에 잠에서 깨서 배고팠다고 말하고 싶을 때, 한국어로는 그냥 '일어나서 배고팠다'고 말해도 어느 시점이든 별로 상관이 없다. 하지만 영어로는 매일 아침 일어날 때마다 배가 고픈건지, 어제 하루만 배가 고팠던 건지를 시제를 통해 구분해 주어야 한다.

 

영어의 시제들

  • 현재시제

I am hungry when I wake up. 나는 잠에서 깨어나서 배가 고프다. (현재시제)

 

  • 과거시제

I was hungry when I wake up. 내가 잠에서 깨어났을 때 배가 고팠다. (과거시제)

 

이렇게 현재면 현재, 과거면 과거 시제에 맞춰서 동사의 형태를 바꿔주어야 한다.

(현재 시제로 말할 경우 지금 배가 고프다는 뜻도 되지만, 아침이면 언제나 배가 고프다 라는 뜻도 되므로 유의해야 한다.)

 

  • 현재완료시제

I have been hungry for 3 days. 나는 3일 동안 배가 고파왔다. (현재완료)

 

과거시제와 현재완료시제의 차이점은 간단히 말하자면 과거시제는 점, 현재완료시제는 선과 같다.

과거시제로 I was hungry 는 과거의 특정 한 시점에 배가 고팠다는 뜻이고,(점)

현재완료시제인 I have been hungry 는 과거부터 배가 고픈 상태가 지금까지 쭉 유지되고 있어서 지금도 배고프다는 뜻이 된다.(선)

한국어로는 그냥 아 배고프다 하면 될 일을 영어는 언제 배고픈지에 따라 시제가 바뀌는 아주 정교한 언어이다.

 

  • 과거완료시제

I had eaten all the foods when my mom arrived.

엄마가 도착했을 때 나는 이미 모든 음식을 다 먹은 상태였다.(과거완료)

(엄마가 도착한 때보다 내가 음식을 모두 먹은 때가 더 먼저이기 때문에 과거완료시제를 쓴다.)

 

그리고 과거완료(had+p.p)도 있는데, 과거보다 더 과거에 일어난 상황을 묘사할 때 쓴다. 흔히 한국 문법책에는 대과거라고 나와있다.

완료라는 말이 붙었어도 현재완료시제와는 아무 관련이 없다.

 

 

would have, could have, should have + 가정법

would have been ~했겠지, ~했겠네

could have been ~할 수 있었겠지

should have been ~했었어야지

 

이 세 가지 문법은 내가 영어공부하면서 가장 헷갈렸던 문법이고, 지금도 완벽하게 이해했다고 하기 힘든 문법 3인방이다. 악명 높은 가정법과도 관련이 있는 문법인데 지금도 가정법이라는 말만 들어도 머리가 어지럽다.

 

I would have been hungry, if you had not given me the bread.

나는 배고팠겠지, (만약)네가 빵을 주지 않았더라면.

 

이 문장은 가정법이다. 여기에서 쓰인 had not given 이라는 과거완료는 과거보다 더 과거 상황(대과거)을 나타내는 의미로 쓰인 것이 아니다. 가정법에서의 과거완료는 현재의 사실과 반대되는 상황을 나타낸다. 가정법으로 '만약 네가 빵을 안줬다면 배가 고팠겠지'라고 말하고 있다. 실제 문장의 뜻은 네가 빵을 줘서 내가 배가 고프지 않다는 뜻이다. 그러므로 네가 빵을 주지 않았다=had not given me the bread 는 현재 사실과 반대되는 상황이다.

 

I could have been hungry if I had not cooked.

나는 배고플 수도 있었겠지, 내가 요리를 하지 않았더라면.

 

You should have cooked something because I'm hungry!

네가 요리를 했었어야지, 나 배고픈데!


 

출처 구글이미지

내가 더 할 수 있었는데

 

 

출처 구글이미지

입 닥x고 있었어야지!

 

 

출처 구글이미지

전화 했었어야지!

 

 

출처 구글이미지

내가 더 잘 알았어야 했는데..

 

 

출처 구글이미지

숙제 했겠지, 근데 젤다를 도와줘야해.

 

 

출처 구글이미지

만약 지구가 평평하다면 지금쯤 고양이들이 이 세상 모든 것을 밀어서 떨어뜨렸을거야.

 

 

@myenglishteache

 

 

 

문법 기초를 다지고 나면 내 영어실력이 또 얼마나 향상되어 있을지 기대된다.

영어가 끝이 없다고 하지만 그래도 재미있다!

728x90
반응형

댓글